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학34

우주탐사 지구와 달, 행성, 태양, 다른 별, 은하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인류의 활동으로 우주선은 우주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모으고자 지구를 떠나는 모험을 한다. 인간은 달을 방문한 적이 있고, 오랫동안 우주 정거장에서 지내기도 했다. 우주탐사는 지구를 우주의 다른 부분과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탐사로 태양, 행성, 별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지구 밖에 생물체가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우주시대의 초기에는 우주공간에서 거둔 성공이 과학과 공학, 국방의 측면에서 어떤 국가의 지도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 미국과 옛 소련은 냉전이라고 하는 아주 심한 경쟁관계에 있었다. 그 결과 두나라는 서로 경쟁적으로 우주개발 경쟁을 벌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2023. 12. 24.
다양한 종류의 천문대 천문대는 크게 중성미자 천문대, 중력 천문대로 나눌수 있다. 먼저 중성미자 천문대를 알아보면, 우주공간에서 오는 중성미자라고 하는 원자구성입자를 검출하는 천문대이다. 중성미자는 다른 종류의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아서, 중성미자 천문대는 엄청나게 많은 물질을 중성미자의 목표물로 사용해야 한다. 중성미자 천문대는 지하에 건설되는데, 그 이유는 수많은 기타 입자들이 중성미자 목표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그레이터서드베리에 있는 서드베리 중성미자천문대에서는 중성미자 목표물로 지하 탱크에 보관된 1000톤의 중수를 사용한다. 중수는 중수소(일반적인 수소 원자보다 무거운 수소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물보다 조금 더 무겁다. 두번째로, 중력 천문대는 천문학자이 중력파를 검.. 2023. 12. 22.
천문대 천문대는 천문학자들이 하늘을 관측하는 장소이다. 천문대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크게 바뀌었다. 초기의 천문대들은 도시의 성벽 위나 탑과 같이 조용한 장소에 지어졌다. 천문대는 지평선 위에 시야가 360도로 펼쳐질 수 있는 높은 곳에 지어져야 했다. 초기의 가장 큰 천문대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인 바그다드, 카이로, 다마스쿠스 등에 있었다. 바그다드에 있었던 대형 천문대에는 6미터의 거대한 사분의와 17미터의 돌 육분의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천문대는 인도의 자이푸르에 있는 천문대와 많이 닮았으리라 짐작된다. 자이푸르의 천문대는 초기 천문대 중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다. 이슬람제국이 쇠퇴하고 서유럽에서 잠자고 있던 과학이 깨어났을 때, 천문대의 모양새가 조금씩 달라졌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2023. 12. 21.
천문학의 발전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천문학자들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의 여섯 행성만을 알고 있었다. 1781년에 영국의 천문학자인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했다. 천왕성을 발견한 뒤에, 천문학자들은 천왕성 궤도가 예상 궤도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알려지지 않은 어떤 행성의 중력이 천왕성 궤도에 영향을 주는 것처럼 보였는데, 영국의 애덤스와 프랑스의 르베리에가 이 행성의 위치를 예측했다. 이들의 예측에 따라 1846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갈레와 갈레의 조수인 다레가 해왕성을 발견했다. 또,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를 변화시키는 어떤 행성을 오랜 시간을 두고 찾은 끝에 발견한 것이 명왕성이다. 1930년대에 미국 천문학자 톰보는 명왕성을 발견했다. 로웰천문대에서 광각망원경을 가지고 찍은 사진에서 명왕성을 .. 2023.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