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문학34 천문학의 역사 사람들은 항상 하늘에 매혹되어 왔다. 기원전 14세기경에 중국의 천문학자들은 별의 위치를 도표로 만들고, 일식과 월식 현상을 기록했다. 기원전 8세기경 바빌로니아인들은 행성이 언제 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여러 천체가 일 년 중 어느 때에 나타나서 사라지는지도 예측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시리우스의 위치를 기록해 봄이 시작되는 때를 정했다. 첫번째, 그리스의 천문학을 살펴보자. 그리스의 철학자와 과학자들은 중요한 천문학적 사상을 크게 발전시켰다. 기원전 6세기에 활동한 피타고라스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다. 또한 피타고라스는 우주 전체의 성질과 구조에 대한 연구를 하여, 초기의 우주론 체계를 발전시켰다. 기원전 370년경에 에우독소스는 행성, 태양, 달,.. 2023. 12. 18. 천문학이란, 그리고 하늘의 관찰 우주를 이루고 있는 행성, 항성, 은하와 같은 천체들, 그리고 이들이 속해 있는 우주공간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는 학문, 천문학자는 천체의 위치와 운동을 관측한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천체를 관측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별은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가,' '별은 어떻게 빛을 내는가' 등의 질문에 답하려고 애쓴다. 그러므로 천문학자는 대부분 천체물리학자라고 할 수 있다. 천체물리학이란, 우주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인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천문학자 중에서 관측천문학자는 망원경을 이용해서 천체를 관측하는 일을 전문으로 한다. 또, 이론천문학자는 관측된 자료에 물리와 수학 법칙을 적용해서, 우주와 천체의 성질을 밝혀내거나 새로운 물리 법칙을 발견한다. 천문학자들은 전문적.. 2023. 12. 18. 이전 1 ··· 6 7 8 9 다음 반응형